맨위로가기

A-35 탄도 미사일 방어 시스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A-35 탄도 미사일 방어 시스템은 소련이 개발한 최초의 탄도 미사일 요격 시스템으로, A-35 및 A-35M을 포함한다. 1950년대 후반부터 개발이 시작되어, V-1000 미사일 및 A-350 미사일 등을 사용하여 적의 탄도 미사일을 요격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A-35 시스템은 두나이 레이더를 비롯한 다양한 레이더와 M-40, 5E92 컴퓨터 등의 기술을 활용했으며, A-35M은 A-35의 개량형으로 1977년에 개발이 시작되었다. 이 시스템은 여러 문제점으로 인해 완전한 배치가 이루어지지 못했지만, 소련의 탄도 미사일 방어 기술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탄도탄 요격 미사일 - 사드
    사드는 미국이 개발한 탄도탄 요격 미사일 방어 시스템으로, 요격 미사일, 발사대, X밴드 레이더로 구성되며 북한의 탄도미사일 위협에 대한 대응책으로 대한민국에 배치되었으나 외교적·경제적 논란을 야기했다.
  • 탄도탄 요격 미사일 - L-SAM
    L-SAM은 한국형 미사일 방어체계의 핵심으로, 탄도 미사일과 항공 미사일에 대응하는 장거리 지대공 미사일 체계이며, 다기능 레이더를 통해 표적을 탐지, 추적, 요격하는 능력을 갖추고 L-SAM II 개발을 통해 다층 방어망을 구축할 예정이다.
  • 미사일 방어 - 전략방위구상
    전략방위구상(SDI)은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이 발표한 소련의 핵미사일 공격으로부터 미국을 방어하기 위한 다층 미사일 방어 시스템 구축 계획이었으나, 기술적·재정적 문제, 윤리적 문제 등으로 비판받으며 냉전 종식과 함께 사실상 종료되었지만 미사일 방어 기술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미사일 방어 - 미사일 발사대
    미사일 발사대는 고정식, 지하식, 이동식 등 다양한 형태로 미사일을 발사하는 설비이며, 이동식 발사대는 기동성과 은폐성을 제공하고, 함정 및 육상 배치 발사대는 다양한 시스템을 포함하며, 포와 미사일 복합 체계도 존재한다.
A-35 탄도 미사일 방어 시스템
개요
유형탄도 미사일 방어 시스템
개발 국가소련
배치 위치모스크바
배치 시작1967년
해체1995년
대체 시스템A-135 탄도 미사일 방어 시스템
구성 요소
레이더다냘 레이더
요격 미사일A-350
미사일 정보
미사일 이름A-350
NATO 보고명알단 (Aldan)
서비스 기간1967년 - 1995년
기능대탄도탄 미사일
무게32,400 kg
길이19.8 m
직경2.5 m
탄두핵탄두
작동 범위300 km
최고 속도마하 3
유도 시스템무선 명령

2. 역사

A-35 시스템은 1972년 미국소련이 체결한 ABM 조약에서 허용된 유일한 소련의 미사일 방어망이었다. A-35는 여러 차례 개량을 거쳤다. 후속 버전으로 A-135 탄도 미사일 방어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1971년에는 차세대 탄도 미사일 방어 시스템인 A-135의 개발이 시작되었고, 돈-2N 레이더 건설은 1978년에 시작되어 1995년에 실전 배치되었다.[7]

2. 1. 시스템 A

소련 최초의 탄도 미사일 요격 시스템은 시스템 A이다. 1956년 7월, 카자흐스탄 사리 샤간의 미사일 시험장 A에서 개발을 시작했다.[5][6][7] 1959년에 시스템 A의 시험이 시작되었다. 시스템 A는 V-1000 미사일을 사용하여 적의 미사일을 요격했다. V-1000의 첫 발사는 1957년 10월 11일에 있었고, 최초의 성공적인 요격은 1961년 3월 4일에 카푸스틴 야르에서 발사된 R-12 미사일을 요격했을 때였다.[5]

시스템 A는 두나이-2 레이더를 사용했다. 3개의 유도용 레이더와 1개의 ABM 레이더(NATO: Hen Nest)도 같이 사용했다.[7][4][8] RTN이라는 3개의 유도 레이더는 150km 정삼각형 위치에 설치되었으며, 탐지거리는 700km였다. V-1000 미사일은 RSV-PR ABM 레이더와 같은 장소에 설치되었다. 통제소에서는 M-40 컴퓨터를 사용했는데, 초당 4만 회 연산능력이 있었다.[7]

2. 2. A-35

A-35는 1959년 Aldan이라는 테스트 모델로 개발이 시작되었다. 시스템 설계자는 소련 실험 설계국 OKB-30의 그레고리 키순코였다. 새로운 미사일 A-350은 OKB-2의 표트르 그루신이 설계했다. V-1000 미사일과는 달리 A-350은 핵탄두를 장착하여, 단일 탄두로 대기권 밖에서 여러 개의 적 미사일을 동시에 요격할 수 있었다.[5] A-35는 통제소, 겹치는 구역이 있는 8개의 조기 경보 레이더, 32개의 전투 기지를 갖추었다.[6]

표트르 그루신은 S-75(SA-2)와 S-300 개발로 사회주의 노동영웅 훈장을 2회 받았다.

A-35 설치 작업은 1965년에 시작되었지만, 여러 문제점으로 인해 1967년 국방부 위원회가 완전 배치를 반대했다.[5] 1971년에는 주 지휘소, 레이더 1개, 전투 기지 3개로 A-35의 한 버전이 시험되었고, 1974년에는 8개의 전투 기지 중 4개로 시험되었다.[6]

8개의 전투 기지 중 4개만 완공되었다. 각 전투 기지에는 각각 8개의 미사일이 있는 2개의 구역이 있었다.[4]

2. 3. A-35M

A-35M은 1977년에 개발이 시작된 A-35의 개량형이다. A-350Zh 미사일 대신 A-350R 미사일을 사용했다.[7] 비탈리 카타예프의 1985년 기록에 따르면, A-35M 시스템은 일부 방향에서 날아오는 탄도 미사일 1발, 그리고 서독에서 발사된 최대 6발의 퍼싱 II형 미사일을 요격할 수 있었다고 한다.[2]

3. 구성 요소

A-35 시스템은 두나이-3, 두나이-3U 조기 경보 레이더, 추적 레이더, 전투 관리 레이더, A-350 미사일 발사대, 5E92 컴퓨터를 갖춘 지휘 통제소 등으로 구성되었다.[6][7] 1974년에 시험된 A-35는 주 지휘소와 4개의 전투 기지로 구성되었으며, 각 전투 기지에는 2개의 추적 레이더, 2개의 전투 관리 레이더, 16발의 A-350 미사일이 배치되었다.[6] 각 전투 기지에는 8개의 미사일이 배치된 2개의 구역이 있었고, 각 구역에는 NATO에서 TRY ADD라고 불리는 3개의 레이더가 있었다.[4]

A-35 시스템 개발은 1959년 Aldan이라는 테스트 모델로 시작되었다. 시스템 설계는 소련 실험 설계국 OKB-30의 그레고리 키순코가 담당했고,[1] OKB-2의 표트르 그루신이 A-350 미사일을 설계했다. A-35는 단일 탄두로 여러 적 미사일을 대기권 밖에서 동시에 요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5]

3. 1. 레이더

소련 최초의 탄도 미사일 요격 시스템인 시스템 A는 두나이-2 레이더를 사용했다.[7][4][8] 이와 함께 RTN(NATO명: Hen Egg)이라고 불리는 3개의 호밍 레이더와 RSV-PR ABM 레이더(NATO명: Hen Nest)도 사용되었다.[4][8] RTN 레이더는 150km 길이의 정삼각형 형태로 배치되었으며, 약 700km 거리에서 미사일을 추적할 수 있었다.[7]

A-35 시스템에는 아쿨로보(쿠빈카)에 설치된 두나이-3 레이더 (NATO 보고명: Dog House)와 체호프에 설치된 두나이-3U 레이더 (NATO 보고명: Cat House)가 사용되었다.[6]

3. 2. 미사일

V-1000 미사일은 소련 최초의 탄도 미사일 요격 시스템인 시스템 A에 사용된 초기 요격 미사일이다.[5] 1957년 10월 11일에 첫 발사가 이루어졌고, 1961년 3월 4일 카푸스틴 야르에서 발사된 R-12 미사일을 성공적으로 요격했다.[5]

A-35 시스템에는 OKB-2의 표트르 그루신이 설계한 A-350 미사일이 사용되었다.[5] V-1000과 달리 핵탄두를 탑재하여 단일 탄두로 대기권 밖에서 여러 개의 적 미사일을 동시에 요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5]

A-350R 미사일은 A-35M 시스템에 사용된 개량형 요격 미사일로, A-350Zh 미사일 대신 사용되었다.[7] 1985년 비탈리 카타예프의 기록에 따르면, A-35M 시스템은 단일 탄도 미사일과 서독에서 발사된 최대 6발의 퍼싱 II 미사일을 요격할 수 있었다.[2]

3. 3. 컴퓨터

소련의 시스템 A는 초당 40,000번의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M-40 컴퓨터를 사용했다.[7] A-35의 주 지휘소에는 5E92 컴퓨터가 설치되었다.[7]

4. 대한민국과의 관계

표트르 그루신이 개발한 S-300을 한국의 삼성물산이 완제품으로 직수입하려다가 미국의 반발로 기술 도입 방식으로 변경되어 국산 천궁 미사일로 독자 개발했다. 이 과정에서 직수입 대신 독자 개발로 변경되어 도입 시기가 20년 지연되었다.[1] 표트르 그루신은 S-75(SA-2) 개발로 사회주의 노동영웅 훈장을 받았고, S-300 개발로 두 번째 사회주의 노동영웅 훈장을 받았다.

참조

[1] 학술지 The Man Who Shot Down a Long-Range Ballistic Missile: 100th Anniversary of the Birth of Grigorii V. Kisun'ko http://www.astronaut[...] 2018
[2] 학술지 Very modest expectations: Performance of Moscow missile defense http://russianforces[...] 2012-10-23
[3] 웹사이트 A35 http://www.astronaut[...] 2007-06-07
[4] 웹사이트 Russian/Soviet Anti-Ballistic Missile Systems http://www.ausairpow[...] Air Power Australia 2012-01-07
[5] 학술지 The early development of Russia's ballistic missile defense system
[6] 서적 Russian Strategic Nuclear Forces MIT Press
[7] 학술지 ABM AND SPACE DEFENSE http://www.fas.org/s[...]
[8] 웹사이트 1st Administration http://www.ww2.dk/ne[...] Soviet Armed Forces 1945–1991 2012-05-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